401(k) 납입 한도에 대해 쉽게 설명합니다. 미국 생활 중 중요한 절세와 은퇴 준비 방법인 401(k) 한도와 주의점을 친절하게 알아봅니다.

401(k) 납입 한도, 얼마나 넣을 수 있을까?

미국에 살다 보면 401(k)라는 단어, 정말 자주 듣게 돼요. 은퇴를 대비해 가장 대표적으로 쓰는 저축 수단이기도 하죠. 그런데 매년 정부에서 “401(k) 납입 한도”를 정해놔서, 이걸 잘 모르면 펑펑 돈 넣다가 나중에 추가 세금 내는 일도 생길 수 있어요. 오늘은 이 한도가 얼마나 되는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실제로 우리 같은 40대 직장인이 뭘 신경 써야 하는지 한 번 얘기해볼게요.

2024년 기준으로 401(k) 플랜에 개인이 넣을 수 있는 돈(즉, 본인이 월급에서 떼서 저축하는 금액)은 22,500달러까지거든요. 50세 이상이면 ‘Catch-up’이라는 추가 납입 한도(7,500달러)도 있어서, 총 30,000달러까지 가능합니다. 회사에서 보태주는 매칭(Matching) 금액까지 합치면 조금 더 넣을 수도 있는데, 이 전체 납입 한도(total contribution limit)도 2024년 기준 66,000달러(50세 이상이면 73,500달러)입니다.

회사마다 401(k) 플랜의 매칭 정책이 다 달라요. 어떤 회사는 100% 매칭(예: 내가 6% 떼면 회사도 6% 보탬), 어떤 회사는 절반만 해주기도 하죠. 이렇게 회사가 넣어주는 돈은 내 개인 납입 한도에는 포함이 안 되고, 전체 납입 한도는 넘기지 않아야 해요.

한 번 실제 사례 들어볼까요? 제 한인 친구가 삼성계열 미국 법인에 다니는데, 월급에서 1년에 22,500달러까지 떼서 401(k)에 넣으면, 회사에서 4% 매칭까지 해줬대요. 자기는 40대라 아직 Catch-up은 못 넣지만, “누가 나 대신 돈을 넣어준다” 생각하면 무조건 매칭 최대한도까지는 챙겨야 이득이죠. 근데 한도를 몰라서 25,000달러 넣었다가 나중에 세금 신고할 때 골치아팠다는 거, 이런 실수 꼭 피해야 합니다.

한도 초과하면 IRS에서 과납(Excess Deferral) 처리해버리고, 그 초과액에 대해 이자나 추가 세금을 물 수 있어요. 그래서 무조건 연말되기 전에 내가 지금까지 얼마나 넣었는지 체크가 꼭 필요합니다. 큰 회사 다니는 분들은 HR 포탈이나 Fidelity, Vanguard 같은 401(k) 사이트 들어가 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401(k) 납입 한도는 매년 인플레이션이나 정책에 따라 오르거나 변동돼요. 그러니까 매년 초에 ‘내가 올해 얼마까지 넣을 수 있지?’ 한 번은 꼭 확인해 보는 게 좋겠죠. 그리고 ‘납입 한도’ 개념은 IRA(개인 은퇴 계좌)에도 똑같이 적용되니까, 여러 계좌 동시로 활용하는 분들은 전체 합계도 신경 써야 합니다.

401(k) 납입 한도와 회사 매칭을 확인하는 직장인 실제 상황

401(k) 납입 한도의 핵심 요점

  • 2024년 납입 한도: 22,500달러(50세 이상은 30,000달러)
  • 회사 매칭은 별도, 전체 한도(66,000달러)도 체크 필수
  • 한도 초과 납입 시 벌금 또는 세금 발생 가능
  • 매년 정부 정책에 따라 한도 변동, 반드시 연초 확인
  • 401(k)와 IRA 한도는 따로 적용, 여러 계좌라면 합계 체크

자주 묻는 질문

Q. 401(k) 납입 한도를 초과해서 넣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납입 한도를 초과하면 그 초과분은 세금 신고 때 소득으로 간주되거나, 별도로 회수 절차를 거쳐야 해요. 연말 전후로 플랜 관리자에게 문의해서 해결하는 게 제일 안전합니다.

401(k) 납입 한도에 대해 궁금했던 점, 조금은 풀렸으리라 믿어요. 이런 절세 포인트, 한두 번만 잘 챙기면 은퇴 준비에 훨씬 큰 차이가 나니까요. 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이나 문의 남겨주세요. 다음에는 IRA, HSA 등 다른 은퇴 저축 방법도 쉽게 풀어 드릴게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